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인물 독자마당

/기자수첩/유기질비료 점검과 축협의 해명, 무엇이 진짜인가

admin 기자 입력 2025.08.04 10:39 수정 2025.08.04 10:39

↑↑ 대구일보 배철한 국장
ⓒ N군위신문
본격적인 영농철이 시작되면서, 비료 수급과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군위군이 최근 관내 유기질비료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유통점검을 벌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퇴비, 가축분퇴비 등 유기질비료는 농업의 기초 자재지만, 품질과 유통의 신뢰 없이는 ‘밭농사 망치기’라는 말이 괜한 소리가 아니다.

이번 점검은 사용 원료의 적정성부터 생산기록, 성분 표시까지 현장 전반을 들여다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부지원 사업이라는 특성상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행정의 꼼꼼한 관리감독은 당연한 일이다. 관행이 아닌, 실제 기준 준수가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였다고 보는 게 맞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이를 둘러싼 오해와 갈등의 목소리도 감지된다. 특히 군위축협은 최근의 일부 언론보도로 인해 마치 자신들이 특혜를 받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데에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군위축협의 설명은 명확했다. “포대당 300원 추가 지원은 관내 생산업체를 우대하겠다는 정부 지침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 지원 구조도 국비·군비 외에 자체 예산과 농협중앙회의 보조로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32년간 품질 문제로 행정처분을 받은 적이 없다”는 점을 내세우며, ISO 9001 품질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대목은 귀 기울일 만하다.

가축분 퇴비에 외지 폐기물이 섞인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GPS 추적 시스템을 통한 전 공정 관리로 그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축협은 반박한다.

지역 농가와 신뢰 기반으로 유지돼 온 유통 구조를 하루아침에 뒤흔드는 건, 행정이 아니라 불확실한 정보일지도 모른다.

영농현장은 단순하지 않다. 숫자와 규정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장 논리’가 존재한다. 그러나 그 복잡성을 이유로 모호함이 허용되어선 안 된다. 행정의 기준은 명확해야 하고, 생산자의 해명은 검증 가능해야 한다. 언론은 그 사이에서 ‘오해’와 ‘의혹’을 구분해야 한다.

비료 한 포대에 담긴 것은 단순한 퇴비가 아니다. 농민의 생계이고, 지역 농업의 신뢰다. 이번 점검과 해명 과정이 ‘소모적 논쟁’이 아니라 ‘투명한 관리’와 ‘정확한 전달’로 이어지길 바란다.


대구일보 배철한 국장


저작권자 N군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