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씨가 말랐어요. 먹고살기 정말 임들어요. 무슨 일을 하고 살아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최근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군위군이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한 수많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불만의 목소리는 높아만 가고 있다.
군위지역 상인들과 주민들에 따르면 고유가시대에 천정부지로 치솟는 차량 연료비에다 각종 공과금, 생필품가격 인상 등으로 서민들의 가계를 옥죄면서 후덕한 인심과 정으로 대변되던 농촌마을의 민심이 갈수록 흉흉해지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같이 경기침체가 군 전반에 걸쳐 불안감을 조성하며 서민들의 의기 의식을 느끼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도 공염불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군위지역 음식점들은 고객 유치를 위한 홍보용 전단지 배포와 특색있는 음식 개발을 시도하는 한편 시장상인들은 채소의 신선도 유지와 청결에 역점을 두고 상가 주변정리에 나서는 등 다양한 자구책에도 불구, 재래시장은 대형 마트에 밀려 경영악화가 점점 가속화돼 가고 있다.
또한, 지역건설경기도 바닥을 치고 있다. 군위군 내 100여 개(일반, 전문건설) 업체가 극심한 수주 난에 자금압박을 받으며 도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지역경기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건설경기가 살아야 한다는 것이 건설관계자들의 주장이다.
군위군 건설협회 관계자는 “건설경기가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경기침체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건설경기 부양책으로 지역에서 발주하는 공사를 지역 업체로 한정해 발주하는 방안이 모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역제한 시행이 어렵다면 지역업체 하도급 참여와 공사에 필요한 주요자재를 지역 내에서 구입도록 강제조항을 계약서에 명시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외지업체가 공사 수주시 지역자금의 역외유출로 경기침체를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군위군 관계자는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특성상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할 수 있는 원인으로 지역에 맞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경기활성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역업체의 저조한 실적과 자금의 역외유출의 심각성을 고려해볼 때 법 규제를 검토해 계약조건 이행에 위반되지 않을 경우 지역경기활성화 차원에서 시행을 고려해 볼 수 있는 집행부의 현명한 판단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