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인물 독자마당

가축 질병 예방은 친환경 동물복지시스템 필요

군위신문 기자 입력 2011.05.02 17:00 수정 2011.05.02 05:14

2010년 12월 5일 구제역이 발생한지 약 3개월간 동안 전국적으로 축산농가 및 중앙, 지방정부 등이 구제역 예방을 위해서 주민 이동 통제 및 각종 행사를 취소 해 가면서 구제역 차단에 사활을 걸고 대처를 했는데도 소 15만 마리, 돼지 331만6000마리가 매몰처리 되었다. 1·2차 백신 접종을 한 후 더 이상 구제역이 발생치 않아 정부는 심각단계에서 경계단계로 사실상 구제역이 종식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구제역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및 국민들의 불편사항은 금전으로 환산이 어려울 정도라고 본다.
무엇보다도 축산농가의 금전적 피해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무엇으로 보상을 해야할지.
그리고 무너진 축산업을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품질향상과 생산성을 향상 하기란 시설이 너무 노후하고 축산농가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국민소득이 2만 달러 시대 OECD가입국,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로, 그리고 국민소비성향 채식주의에서 육식위주로 변화하여 연간 1인당 육류소비량이 1990년대 19.9Kg, 2000년대 32kg, 2009년도 36.8kg로 육류소비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렇다 보니 우리나라 가축 사육규모도 1990년대 한우·육우가 162만 마리에서 2010년대에 292만 마리로 증가 하였고, 돼지는 1990년대 452만 마리에서 2010년대 988만 마리, 닭은 1990년대에 7,446만 마리에서 1억4919만 마리로 사육증가를 나태내고 있다.

그러나 생산자측에서는 소비증가 추세를 질보다는 양적 확대를 도모한 결과 대다수 사육농가들은 축산업에 가축을 편안하게 사육할 사육시설 및 소독시설확충에 투자비용을 늘리는데 인색한 면이 많았다고 본다. 그렇다보니, 가축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되다 보니 가축은 질병으로 부터 면역력이 떨어져서 연례행사처럼 가축질병이 도래하여 축산농가들이 상당히 어려움을 격고 있다고본다.

요즘 사람들은 친환경제품을 많이 선호하고 있는데, 육류 제품에 대해서는 친환경적이고, 가축복지 시스템이 잘된 곳에서 성장한 가축 선호도가 떨어지다 보니 축산농가들이 가축복지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축산업도 OECD국가에 준하는 사육기법을 EU처럼 가축과밀사육을 근절토록 법제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EU는 1986년 산란계, 1991년 송아지, 돼지를 과밀사육을 하지 못하도록 법제화 하였으며, 산란계는 케이지에 사육을 근절함은 물론 모래목욕장과 회 설치를 의무화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축사지붕도 고정식 보다는 슬라이드식으로 하여 가축들이 항상 햇볕을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통풍이 원활하도록 벽면에는 자동개폐식 설치를 해 주어야 한다.

축사바닥은 톱밥을 약 30㎝정도 깔아주되 톱밥도 일반 톱밥보다는 소나무 톱밥이 가축에게는 좋다고 한다. 소나무 톱밥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진액이 구충을 제거하는데 效果가 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부연하자면 축산업도 이제는 사람에 준하는 복지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고, 적극적인 시설투자와 가축 밀식사육을 반드시 지양해야한다. 전국적으로 구제역, AI 때문에 전통적 축산단지들이 옛 명성을 찾기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본다.

우리 군위는 신흥 “청정군위축산”브랜드화 하기에 절호의 기회라고 본다. 이 기회에 축산농가, 자치단체에서는 적극적으로 R&D하여 최고의 명품 축산물 생산에 역동적으로 대처를 해야 한다고 본다.

산성면 화본리 김성지


저작권자 N군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