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대구일보 배철한 국장 |
ⓒ N군위신문 |
군위에 청년과 신혼부부가 살 집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군위군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대구 편입과 신공항 유치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청년층과 신혼부부가 군위로 유입됐다. 하지만 그들의 주거난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군위군은 현재 군위군청, 교육청, 경찰서 등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2030세대와 신혼부부는 줄잡아 200명이 넘는다. 이들 대부분은 인근 대구와 구미에서 출퇴근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문제는 군위의 급등한 집값과 전·월세 값이다. 신축 원룸 월세는 50~60만 원, 34평형 아파트는 3억~3억 5천만 원에 거래된다. 이런 주거비 부담에 청년들은 군위를 떠날 수밖에 없다.
군위군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았다. 공무원 기숙형 원룸 19실을 제공하고, 농공단지 청년문화센터에는 15개실의 기숙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6년까지 희망주택 20세대를 건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런 대책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주거 수요를 따라가기엔 역부족이다.
물론 군위군은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층과 신혼부부가 직면한 문제는 단기적인 해결책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군위군이 제공하는 기숙사와 주택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 수는 극히 부족하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주택들이 정작 군위에 정착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다.
군위군이 청년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려면 더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 가장 시급한 건 주택 공급 확대다. 노후 아파트나 빈집을 재개발해 청년들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을 늘리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또한, 외곽지나 빈공간을 활용한 주택 단지 개발도 필요하다.
군위군은 이미 일부 주택 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 속도와 규모는 충분하지 않다.
한 주민은 “대구시와 군위군이 협력해 30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를 재개발하거나 빈 땅을 매입해 청년 주택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이 결코 과장된 요구가 아니란 사실은 군위군의 주택 수급 상황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제 군위군은 청년들이 떠나지 않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 주거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군위군의 미래도 그만큼 불투명할 것이다. 청년들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듣고, 그들의 현실적인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을 빠르게 추진해야 한다.
군위군, 이제는 말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하다.
대구일보 배철한 국장
baech@idaegu.com